급증 이유
그렇다면 왜 오픈소스를 사용할까? 우선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는 가격이 저렴하다. 소프트웨어에 대한 유지, 보수를 위해 일정한 금액을 지불해야하지만 상용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것 보다는 훨씬 저렴하다. 자금력이 약한 기업들이 오픈소스를 선호하는 이유다. 또 데이터의 관리와 통합이 유리하고, 업무에 필요한 방향으로 신속, 정확하게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해 적용할 수 있고 비즈니스 프로세스 개선과 리엔지니어링이 용이하다. 보안 문제와 데이터 센터의 통합과 현대화 그리고 가상화에서도 우월하다. OSS의 활용 분야도 넓어지고 있다. 가장 활발한 곳이 OS 시장이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의 확대로 인한 클라우드 서비스 활성화, 가상화 솔루션 도입으로 인한 리눅스 계열 OS 사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안드로이드로 대표되는 모바일OS 시장에서의 활용도 크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DB시장 역시 OSS가 활용되고 있는 대표적 사례다. 온라인 트래픽이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어 상용DB는 기업들에게 큰 부담으로 다가올 수밖에 없다. 때문에 큐브리드DB, SKY SQL 등의 OSS 기반의 DB 활용도도 커지고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과 빅데이터 역시 예외가 아니다. 아마존을 비롯해 구글 등 대표적인 클라우드 기업들은 OS를 활용해 클라우드를 구축했다. 또 HP와 델, IBM, 시스코 등의 글로벌 IT 기업들 역시 하둡, R 등과 같은 OSS와 오픈스택이라는 OSS를 기반으로 경쟁력을 더하고 있다. 특히 최근 ICT 분야에서 가장 각광을 받고 있는 사물인터넷(IoT) 분야에서도 OSS는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가트너 리서치 디렉터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통한 경쟁우위의 확보가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도입하는 중요한 이유로 주목받고 있기 때문에 단순히 가격 경쟁력에서의 우위를 점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기업의 요구조건에 부합하는 기능적인 측면을 더 강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